日 초등학교 교과서, 의무 ‘징병제’ 약화…독도 영유권 강력 옹호…외교부·교육부, 이에 반발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관련 문구 경시 (출처: 연합뉴스)

일본 문부과학성(MEXT)은 2024년부터 이 시험에 사용할 149개 교과서의 심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채택된 초등학교 교과서 중 사회학 교과서 12종과 지도교재 2종은 3~6학년 징병제(강제징용) 약화에 대해 ‘지원’을 추가했다.

원래 “한국 남자가 일본군에 징집되었다”를 “한국 남자가 일본군에 입대했다가 나중에 군대에 징집되었다”로 변경했습니다.

또한 일본 문학 출판사의 6급 사회학 교과서는 관동 대지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줄였습니다.

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자 일본 고위 관리들은 사회 혼란을 막기 위해 ‘조선인이 우물을 독살했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려 조선인 학살을 자행했다.

모든 교과서는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말합니다.

독도와 관련된 설명에서 “한국의 불법점령으로 인한 일본의 항의”는 기존 내용을 “한국의 불법점령으로 인한 일본의 항의”로 대체한다.


일본 초등교과서의 한국사와 독도 기술의 변화 (출처: 연합뉴스)

이에 따라 외교부는하늘, 교과서 속 불의의 역사·“우리는 영토 주장을 중단하고 역사 앞에서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성명에서 밝혔다.

주요 내용은 독도가 역사, 지리, 국제법상 한국의 고유영토라는 일본 초등교과서의 부당한 주장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고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유권 주장을 인정하는 것이다.

분명히 당신은 할 수 없습니다.

또 강제징용 관련 표현의 경시와 표현 방향의 변화를 강하게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일본 정부가 폭로한 과거사에 대해 진정으로 사죄의 정신을 실천하고 반성할 것을 촉구했다.

일본의 시험 결과 발표에 대해 문부과학성은 성명을 내고 “한국의 역사와 영토 주권을 부정하는 글은 즉각 시정하겠다”고 밝혔다.

메인 콘텐츠로 우리 정부의 끊임없는 시정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 년 동안 일본 정부는 우리는 우리 영토와 역사에 대해 부당한 주장을 거듭해왔습니다.

특히권위 있는·지리적·국제법상 대한민국 영토를 깨끗이독도에서 일본 고유의 영토~처럼 활력소한일본초등학교 사회교과서개정·다시 채우다*일본 정부 또 셧다운 컨테이너과장된 대한민국 정부는 이에 강력히 항의합니다.

, 즉시 수정 서두르라고

그리고 ‘일본 점령 초안강제력 약화주문한 교재가 시험에 합격했어요 후회를 느꼈다, 미래를 마주하다·한일 관계에 대해 일본 정부는 역사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즉각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 발행인의 생각

아동 안전 신문에 보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래의 청소년, 아니 미래의 청소년이 될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올바른 역사인식이 밑거름이 되어야 합니다.

당신의 손바닥은 하늘을 가릴 수 없습니다.

일본 어린이들이 자라서 한국과 주변국의 청소년들과 친구가 되기 위해서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함께 나가야 합니다.

잘못된 역사관으로 물의를 빚는 일본 어른들의 행동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

일본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해 선택한 소재입니다.

두 나라의 청년과 어린이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지고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라며, 도오안중근의 ‘동방평화’가 실현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13년 전 캐나다에서 일본인 학생과 말다툼을 포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나도 무식하고 그도 무식하고 이런 행동은 다시는 일어나선 안된다.

교육은 진짜 어른들에게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연합뉴스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한국언론을 응원합니다.

∞ 지식

21세기 한일신동반자공동선언: 1998년 10월 8일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채택한 협정.김대중-오연 공동선언문‘가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1998년 10월 8일 일본 도쿄를 방문한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가 서명한 공동성명이다.

당시 두 정상은 한일 간의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새로운 국면을 조성하기 위해 과거사 등 11개 항목을 인정한 ’21세기 신한일동반자관계에 관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미래. 방향 관계. 여기에 1995년 8월 15일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가 발표한 “전후 50주년 특별 성명”에 따라 과거 식민통치에 대한 ‘진심성찰과 사죄’‘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공동선언의 별첨으로 ▲매년 1회 이상 정상회담 개최 ▲대북 정책협력 ▲민관투자유치협의회 개최 ▲청년 확대 등 5개 분야 43개 ‘행동계획’을 담았다.

교류를 채택했다.

또 일본수출입은행 차관 제공, 한국 내 일본문화 개방, 고려산업대 학부생 일본 파견 등도 약속했다.


<来源:Naver知识百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