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욱 호흡기폐암센터 교수
비 초 세포 폐 암 치료 때 돌연 변이 유전자의 신속한 검출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진행성, 초등 세포 폐 암 환자는 백금 항암-면역 복합 치료 또는 돌연변이 유전자에 대한 표적 치료를 받게 된다.
환자가 표적 치료제의 대상인지 판단이 늦어지는 것에 폐 암 치료가 지연될 수밖에 없어 신속한 동반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이 중요하다.
표적 항암제는 약 10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폐 암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주로 암 세포 신호 전달 체계를 조절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치료 메커니즘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경구 약이다.
특정 돌연변이의 한 환자에서 사용이 가능한 대표적으로 표피 성장 인사 수용체(EGFR)돌연변이가 있고, 국내에선 비 초 세포 폐 암 환자 30~40%가 이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서 1차 치료제로 지오 트립 등 2-3세대 EGFR표적 치료제가 처방 가능하며 4세대 표적 치료제까지 연구 개발 중이다.
현재의 보험 체계에서는 EGFR표적 치료 내성 유전자인 T790M이 발생한 경우 렉라ー자, 태그 인쇄를 사용할 수 있다.
EGFR변이 외에도 폐 암에는 다양한 표적 치료제 사용 가능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지만, 반대 형성 림프종 인산화 효소(ALK)돌연변이와 ROS1돌연변이도 중요하다.
ALK돌연변이에 대해서는 아레셍자, 아룬 브릭 등의 약제가 사용 가능하며 ROS1동반시에 1차 치료제로 쟈루코리 사용이 가능하다.
그 외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NGS)을 통해서만 발견하는 표적 가능 유전자 돌연변이 BRAF에 라피은나·마 큐 셀, MET엑손 14결손에 대해서 타브렉타, RET에 레테브모, NTRK에 대해서 비트 랙 비와 로즈 리트 렉이 각각 표적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여의도 성모 병원에서는 병리과 김·대전 교수가 이 유전자에 대한 동반 진단 NGS를 시행하고 있으며 유전자 돌연변이 인증이 바로 약제 처방이 가능하다.
폐 암에 비교적 흔한 KRAS돌연변이에 대해서 특별한 표적 치료제가 없었지만, KRAS G12C변이는 작은 세포 폐 암으로 루막라스(성분인 서 호랑이 찜질 사용이 가능했다.
2021년 NEJM이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KRAS G12C변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 초 세포 폐 암 환자 80%이상의 높은 질병 조절률도 나타났다.
2022년 5월부터 국내 처음으로 폐 암 돌연변이”KRASG12C”선별을 위해서 미국 식품 의약국(FDA)승인 동반 진단 검사인 “therascreen KRAS RGQ동반 진단 검사를 개시했다.
국내에서 가장 빠른 폐 암 진단(2~5일 이내)과 EGFR, ALK, ROS1, KRASG12C를 포함한 표적 가능 유전자 변이 분석을 신속히 추진하고 있다.
호흡기 폐 암 센터의 임·홍정욱 교수는 “EGFR, ALK, ROS1, BRAF, MET엑손 14결손, RET, NTRK, EGFR T790M결과를 국내에서 가장 빨리 나오기 때문에 비 초 세포 폐 암 환자의 신속한 항암 치료가 가능하다”며”최근 급여화된 동반 진단 NGS검사도 직접 진행 가능하다 2차, 3차 항암 치료까지 미리 계획할 수 있다”이라고 말했다.
이·박주영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