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야 매입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산림의 비율은 약 63.3%이다.
즉 우리나라 국토의 절반 이상이 숲이라는 이야기다.
서울 같은 대도시에 살더라도 고개만 살짝 돌리면 쉽게 숲을 볼 수 있다.
임야는 다른 토지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개발을 위해 임야 구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숲은 생각보다 개발이 쉽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산림개발을 위한 평균경사의 개념을 이해한다.

그래서 오늘은 평균 기울기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오늘도 아보다 – 제가 아는 한 보고 시작했습니다!
평균 기울기
즉 매입할 임지의 평균경사도를 기준으로 개발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임지를 매입하기 전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산지관리법」은 산지개조 허가를 받은 산림의 평균사면기준을 25도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즉, 임야의 평균 경사도가 25도를 넘으면 산지개량 허가가 나지 않아 개발이 불가능하다.
지역사회에 그런 예가 많이 있는데 환경이 좋고 가격이 싸서 숲을 사서 산다고 하고, 평균경사도가 25도를 넘기 때문에 개발이 안되고 구경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평균산림경사가 적용되지 않는 지역
다만 평균산림사면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산림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사람들이 산림 면적을 660㎡ 미만으로 나누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구획면적이 660㎡ 미만인 경우에는 산림의 평균사면기준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산지관리법에서는 평균사면을 25도 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나, 해당 사면기준은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다르므로 산지관리부서와 협의가 필요할 수 있다.
지방 정부가 임지를 매입하기 전.
산간지역 생산전환은 산림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임야농장 평균사면 조사대상자
숲의 평균 경사를 확인하려면 비용이 듭니다.
숲의 평균 경사도 조사는 아무나 할 수 없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산림기술진흥관리법 시행령 표 3 임업공학기술자
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림기술사, 토목기술사, 측량 및 공간정보기술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술사, 토목기술사, 측량 및 공간정보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여 해당 분야에 10년 이상 종사한 자
산림의 평균사면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위의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어야 하므로 산림을 매입하기 전에 조사를 하는 데는 비용이 든다.
따라서 온라인에서도 쉽게 경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참고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임업 정보
숲의 경사면을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방법은 산림정보 다드림에 방문하여 보는 것입니다.
https://gis.kofpi.or.kr/gis/main.do
임업 정보
gis.kofpi.or.kr 홈페이지
산림정보 대드림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산림정보추첨 서비스”를 클릭하시면 입장이 가능합니다.

경사를 확인하고 싶은 숲의 지번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지번을 입력하고 잠시 기다리면 숲 정보가 자세하게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중간에 있는 지형 정보에서 경사도를 볼 수 있습니다.

탐색한 숲의 경사도가 5도에서 10도 사이이므로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수신을 산간지역으로 전환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번에는 삼림 지대를 사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경사지에 대해 알아본다.
경사는 산림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확실히 알아두세요. 그리고 위와 같이 온라인에서 찾은 슬로프는 참고용입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