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23년까지 ‘부산형 탄소중립마을’ 13개소를 선정해 이들 마을의 온실가스 감축사업 비용을 지원한다.
부산형 탄소중립마을 사업은 모든 마을 주민들의 생활방식을 점진적으로 개선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비산업 부문 프로젝트로 산업 부문보다 비용이 적게 들지만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즉각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올해 부산형 탄소중립마을로 선정된 곳은 ▲부산해양환경민간위원회 ▲빛나는 금정산아파트 ▲신동해변아파트 ▲영도신도브랜드아파트 ▲시청종합사회복지관(1년이상) ▲금샘마을(2곳)이다.
차) ▲ 블루오션아이쿱 식생활교육원 ▲ 선경아파트 ▲ 압트란채 1단지 아파트 ▲ 신호빌더하임아파트 ▲ 성지문화원 ▲ 장산마루 작은도서관 ▲ 대티고개 초록마을(3년이상)
2023년 탄소중립마을 선정 및 운영계획
●영업시간 : ’23. 4. ~ 12.
● 사업 규모: 13개 마을 * 각 자치구/군은 최소 1쿼터 추진
● 사업비 : 6,000만원(국비 30, 시비 30) * 각각 자기부담(10% 이상)
● 사업내용 : 3년간 참여마을 기본 추진(단계적)
분배하다 | 세부 사항 | 사업비 |
<第一步> 인지도를 높이다 |
– 세대별 에너지 절감 목표(5~10%) 설정 및 관리, 마을공동체 조직화 – 기후변화 교육, 워크숍, 환경보호대회 등 마을구호활동 지원 – 온실가스 진단 및 협의를 통한 자원절감 및 생산 제안 |
1~300만원 |
<第二步> 효율성 향상 |
– 주택효율 상담 및 시공 교육(단열, 보일러 청소, 절수시설 등) – 농촌 전문가 양성 및 건물 에너지 효율(BRP) 사업 ※ LED조명교체, 단열창문, 출입구 및 외벽(벽체 및 천정) 단열, 고효율보일러교체 등 |
200~400만원 |
<步骤 3> 제로 탄소 |
– 신재생에너지(소형태양광 등) 설치, 빗물이용시설 등 – 탄소흡수원 확대(나무심기 등) 및 협동조합 설립을 통한 농촌기업 육성 |
300~600만원 |
● 진행 : 사업경쟁 후 현장실사 및 사업계획서 심사/선정
① 사업 경쟁 | ② 현지조사 및 마을선정 | ③ 선발결과 통보 |
∙사업계획서 제출 | ∙ 사업계획에 대한 확신 ∙ 사업의 타당성 ∙사업 추진의 조건 및 의지 |
∙참여마을 확인통보 ∙ 보완사업계획서 등 |
(참여마을→시) | (도시) | (시→참여마을) |
탄소중립마을로 선정되면 3년 내 탄소중립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보조금과 마을활동가를 지원하고, 마을공동체는 사업의 단계별 추진을 추진한다.
▲ 1차년도에는 에너지절약 목표 설정, 기후변화 교육, 가정용 온실가스 진단 및 상담 등을 주민 인식 변화 중심으로 추진(지원금 100만~300만원) ▲2차년도는 건물 단열재 , 보일러 청소, 에너지 절약 수도설비 교체, 고효율(LED)조명 등 효율개선 사업(200~400만원 지원) ▲ 3차년도에는 소규모 태양광발전소 등 탄소상쇄를 통한 제로카본 사업 주택 빗물 저류조, 나무심기(보조금 3~400만원) 400만원, 600만원).
서울시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총 85개 마을*을 탄소중립 마을로 선정해 운영했으며, 현재까지 741톤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했다.
* 선정된 탄소중립 마을 : (2016) 5 (2017) 12 (2018) 11 (2019) 13 (2020) 12 (2021) 16, (2022) 16
< 2023 年碳中和村庄状况 >
범주 | 마을 이름 | 회사 이름 | 장소 |
3년차 (하나의) |
블루오션 아이쿱민생식품환경교육원 | 저탄소 마을 만들기는 내가 사는 마을에서부터 시작됩니다. |
북구 와석장터로 16 |
3년차 (사람들) |
산징 아파트먼트 | 충칭 저탄소 아파트 1,2호 건설 | 금정구 구서중로 20 |
3년차 (사람들) |
듀플렉스 아파트 뜨트랑채 1 | 환경사랑 이웃사랑 | 동래구 옌안로 71 |
3년차 (사람들) |
아파트먼트 싱하우 빌더하임 | 탄소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뜨거워진 지구를 1도 낮추기 |
강서구 신호산단3로 55 |
3년차 (하나의) |
홀리랜드 문화센터 | 행복한 푸른 성소 탕 감본 케이브 프로덕션 |
부산진구 동평로 94 판이 28 |
3년차 (하나의) |
나가야마 마루 작은 도서관 | 도전! 저탄소마을 재성2동 |
해운대구 자이반로 118번길 47 2층 |
3년차 (하나의) |
대티고개 그린빌리지 | 저탄소 마을 만들기 “나부터 지금부터 작은 것부터 시작해” |
샤샤 지구 철도 59번가 24-5 |
두 번째 해 (하나의) |
진슈촌 (부산앤러닝센터) |
토양, 물, 공기 보존 기후 저스티스 페어뷰 빌리지 |
진징구 허산로 13번길 11 |
첫해 (하나의) |
부산해양환경민간위원회 |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청신호 일부! 선두 |
영도구 마지대로 12 (방 103) |
첫해 (사람들) |
래디언트 진징샨 아파트먼트 여성 협회 |
저탄소(저탄소) 지역 가치를 향상시킵니다. ) |
35 Shangxue Road, North District |
첫해 (사람들) |
뉴 이스트 비치 아파트먼트 (지구의 친구들 그래서 기후) |
탄소 중립 마을 | 해운대구 우동2로 88 (우동1로85번길) |
첫해 (사람들) |
영도신도시 신축아파트 | 영도 신두 신축 친환경 아파트 | 영도구 태종로 260 |
첫해 (하나의) |
와치종합사회복지센터 | 지역주민의 환경의식 향상 기후위기 대응 프로젝트 ‘숨은 초록 찾기’ |
함지로 79번길 76 |
특히 ▲수영구 광안동 1스위트 ▲영도구 그린리더십위원회 에코맘 ▲북구 대천마을 ▲영도구 비산해수욕장 ▲부산진구 청정마을 에코라움 그것은 삶의 방식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의 좋은 예입니다.
* 출처 : 부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