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액면가는 얼마입니까?

일반적으로 주가는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각 회사의 주가를 말합니다.

그러나 주식을 거래할 때 “액면가”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주가와 액면가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액면가


액면가란 무엇입니까?

액면가는 주식의 표면에 적힌 금액입니다.

회사가 공개되면 가격은 액면가로 결정됩니다.

보통 5,000원으로 책정됩니다.

이 액면가는 100원, 1,000원, 2,500원, 5,000원 ​​단위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 설명은 다소 어려울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이번에 코스닥에 상장할 자본금 5000만원 규모의 회사가 있고 총 발행주식수는 2500만주라고 가정하자. 요약하면 액면가는 회사가 발행한 총 주식 수를 결정합니다.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주식총수 = 자본금 / 액면가

액면가 및 주식 투자

액면가가 높으면 발행주식 총수는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주당 가격은 높은 수준을 형성하게 되어 주식의 거래량과 유동성이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즉, 작은 거래력으로도 큰 상승과 큰 하락의 가능성이 크므로 수익을 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큰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 수 있습니다.

액면가가 낮으면 발행주식총수가 증가하고 주당 가격이 낮아져 거래량과 유동성이 증가한다.

즉, 주식은 회사의 현재 가치가 아니라 시장이 생각하는 회사의 가치로 거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컨대 액면가는 발행주식총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궁극적으로 투자의 종류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주가의 변동성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액면가가 너무 높으면 액면분할 등을 통해 발행수를 늘린다.

전 국민의 소유라는 삼성전자 주가도 50:1 액면분할을 통해 유동성과 거래량을 늘렸다.

투자한 회사의 액면가와 발행주식 총수를 알면 그 회사의 자본금이 얼마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자본은 회사의 기반이 되는 것이므로 주식에 투자하기 전에 액면가와 발행주식수를 결정하여 회사의 건전성을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