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RL, RPR, FTA-ABS 등 syphilis(매독) 검사결과 해석

매독(syphilis)감염은 병의 경과에 의해서 다른 임상 증상을 나타냅니다.

특히 잠복 매독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무증상기에 진행되기 때문에 매독 혈청 학적 검사로만 양성을 발견합니다.

그래서 정확한 매독의 진단에는 혈청 학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1. 매독 검사 방법 매독의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은 의심되는 병소에서 직접 세포를 관찰하거나 혈청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혈청을 분석하는 방법은 선별 검사로 확진 검사의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대표적인 선별 검사는 VDRL검사와 RPR검사가 있습니다.

이들 검사 결과가 빨리 알다는 장점이 있지만 위양성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별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매독균에 특이적인 확진 검사를 통해서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합니다.

1-1. 선별 검사(VRL, RPR)VDRL검사와 RPR검사는 매독 감염에 대한 선별 검사 및 치료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이용됩니다.

VDRL검사에서는 1기 매독 환자의 90%이상으로 양성이고 반대 가의 감소는 치료 성공의 지표로 쓰입니다.

일반적으로 1:16이상은 고역에서 활동성(active disease)을 의미하며 1:8이하의 저주파 통과는 치료 후 몇년 남습니다.

1-2. 확진 검사(FTA-ABS, TPLA, TPHA, TP_EIA, TP-CLIA등)FTA-ABS와 TPLA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검사 능력을 나타냅니다만, 1기 매독은 FTA-ABS가 보다 높은 민감도를 표시하고 사용하는 항원 특이성의 차이 등으로 3%정도의 불일치 소견을 나타내는 것이 있습니다.

매독 균에 대한 IgG항체는 대부분의 경우 평생 지속되면서 일부 환자가 치료 2~3년 후에 음성으로 전환되기도 합니다.

자기 면역 질환 환자, 특히 홍반 환자에게 가장 많은 가짜 양성을 보이고 고령과 connective tissue disease, 그 외에도 드물지 않지만 다른 나선 균(Spirochetes:Leptospira, Borrelia orother Treponema species)에 처하는 일에서 위양성이 가져오는 것이 있습니다.

일반인의 약 1%가 FTA-ABS검사에서 가짜 양성을 나타내자 문헌 보고됐고, 이때 위양성 결과는 대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원인 미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2. 매독 검사의 참고 가격은?

수의학질환연구소 비반응성·RPR(급속 플라즈마 리아긴) 비반응성: 1.00 미만 FTA-ABS IgM[세럼] 비반응성 링FTA-ABS IgG[세럼] 비반응성 링비반응성 TPLAN: <7.00 링

헤르페스 1, 2형 검사 결과가 궁금하다면?

헤르페스 1형, 2형(HSV1, HSV2) 검사결과/수치해석(PCR검사, IgM/IgG 등 혈액검사) 본 컨텐츠는 헤르페스 1형과 헤르페스 2형의 증상 자체보다는 헤르페스 감염증을 위해 실시하는 다양한 검사… blog.naver.com

헤르페스 1형, 2형(HSV1, HSV2) 검사결과/수치해석(PCR검사, IgM/IgG 등 혈액검사) 본 컨텐츠는 헤르페스 1형과 헤르페스 2형의 증상 자체보다는 헤르페스 감염증을 위해 실시하는 다양한 검사… blog.naver.com

헤르페스 1형, 2형(HSV1, HSV2) 검사결과/수치해석(PCR검사, IgM/IgG 등 혈액검사) 본 컨텐츠는 헤르페스 1형과 헤르페스 2형의 증상 자체보다는 헤르페스 감염증을 위해 실시하는 다양한 검사… blog.naver.com헤르페스 1형, 2형(HSV1, HSV2) 검사결과/수치해석(PCR검사, IgM/IgG 등 혈액검사) 본 컨텐츠는 헤르페스 1형과 헤르페스 2형의 증상 자체보다는 헤르페스 감염증을 위해 실시하는 다양한 검사… blog.naver.com